Swap 영역 생성/확장 (Standard Partition / LVM) 저번 포스트에 이어서 OS설치 시 구성되지 않은 Swap 영역을 생성하거나 기존에 있는 Swap 영역을 확장하는 방법에 대해서 포스팅 하겠습니다. Swap 영역 생성 이전 포스트에 내용처럼 Swap은 파티션 형태(Standard/LVM) 와 File형태로 생성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선 Partition 형식으로 생성할때의 내용을 게시하겠습니다. Partition 형태의 Swap 생성방법 (Standard / LVM) 1. LVM Volume형식 사전에 LVM에 대해서 기본적인 로직을 알고계시면 도움됩니다. 해당 내용은 이번 포스트에서 다루지 않겠습니다. Swap을 LVM형식으로 생성되기 위해선 사용되고있는 디스크의 특정 Partition이 PV로 구성되고 해당 PV를 통한 VG(VolumeGr.. 2022. 7. 5. Swap 영역에 대해 (Swap 메모리) 먼저 Swap이라는 개념을 알기전에 주기억장치인 RAM(Memory)과 보조기억장치로 사용되는 HDD나 SSD의 역할에 대해 알고계시면 더 도움 될 수있습니다. 해당 포스트에선 Swap 에 대해서만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Swap 이란? 주기억장치의 용량, 즉 시스템에 메모리가 부족할 경우 데이터 손실이 일어나거나 프로세스가 기동할 수 없는, 프로세스의 동작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를 사전에 방지하고자 보조기억장치인 하드디스크의 공간을 활용하여 메모리 역할을 할 수 있게 도와주는 영역을 Swap이라고 합니다 Swap의 동작개념 실제 메모리(RAM)가 가득차면 Swap공간이 사용되는데, 물리 메모리의 비활성 페이지가 Swap 공간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사용하게 됩니다. 만약 물리 메모리의 공간이 여유가 되서 동작.. 2022. 7. 4.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