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번 포스트에 이어서 OS설치 시 구성되지 않은 Swap 영역을 생성하거나 기존에 있는 Swap 영역을 확장하는 방법에 대해서 포스팅 하겠습니다.
Swap 영역 생성
이전 포스트에 내용처럼 Swap은 파티션 형태(Standard/LVM) 와 File형태로 생성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선 Partition 형식으로 생성할때의 내용을 게시하겠습니다.
Partition 형태의 Swap 생성방법 (Standard / LVM)
1. LVM Volume형식
사전에 LVM에 대해서 기본적인 로직을 알고계시면 도움됩니다.
해당 내용은 이번 포스트에서 다루지 않겠습니다.
Swap을 LVM형식으로 생성되기 위해선 사용되고있는 디스크의 특정 Partition이 PV로 구성되고 해당 PV를 통한 VG(VolumeGroup) 이 구성되어 사용할만큼의 유휴용량이 존재해야합니다.
하기 명령을 통해 VG내의 유휴용량 확인합니다.
# vgs
먼저 Swap 영역으로 사용될 LV를 생성해주어야합니다.
LV 생성명령의 형식은 하기와 같습니다.
ex)
# lvcreate "VolumeGroupName" -n "LogicalVolumeName" -L SIZE
# lvcreate rootvg -n swaplv -L 4G
-n 옵션 : LV의 Name 지정
-L 옵션 : LE의 Size 단위가 아닌 MB, GB 단위로 지정할 수있는 사이즈 지정옵션
(-l 소문자 사용 시 LE의 갯수를 지정하는 옵션 / LE의 Size는 PE의 Size와 동일하게 따라감)
위 명령으로 LV를 생성하셨다면 해당 볼륨의 파일시스템 타입을 Swap 형식으로 생성해주어야 합니다.
일반 파일시스템으로 사용될 볼륨과는 다르게 OS에서 Swap 형식으로 인식해야하기 때문에 하기의 명령을 통해서 Swap타입으로 생성이 가능합니다.
ex)
# mkswap /dev/VolumeGroupName/LogicalVolumeName
# mkswap /dev/rootvg/swaplv
위 명령을 통해 볼륨에 Swap 으로 사용되게끔 생성해준 후엔 시스템 Reboot시 자동으로 마운트되어 사용될 수 있도록 /etc/fstab 파일에 볼륨의 대한 마운트정보를 등록해 주어야합니다.
# vi /etc/fstab
===================================
...
/dev/VolumeGroupName/LogicalVolumeName swap swap defaults 0 0
...
===================================
그 뒤로는 시스템에서 해당 구성을 등록하여 사용할 수있게 하기 명령을 실행합니다.
# systemctl daemon-reload
이후 해당 볼륨을 실제 Swap 공간으로 활성화하려면 하기 명령을 실행 시 Online상으로 활성화 됩니다.
ex)
# swapon -v /dev/VolumeGroupName/LogicalVolumeName
# swapon -v /dev/rootvg/swaplv
실제 활성화 되었는지 현재 상태를 확인할땐 하기 명령을 통해 출력되는 내용으로 확인 가능합니다.
# cat /proc/swaps
# swapon -s
# free -h
2. Standard Partition 형식
#fdisk /dev/sdX 명령을 통해 특정 디스크에 Standard Partition을 추가하는 작업을 진행합니다.
# fdisk /dev/vdb
...
Building a new DOS disklabel with disk identifier 0x4b808001.
Command (m for help): p (현재상태 확인)
Disk /dev/vdb: 10.7 GB, 10737418240 bytes, 20971520 sectors
Units = sectors of 1 * 512 = 512 bytes
Sector size (logical/physical): 512 bytes / 512 bytes
I/O size (minimum/optimal): 512 bytes / 512 bytes
Disk label type: dos
Disk identifier: 0x4b808001
Device Boot Start End Blocks Id System
Command (m for help): n (파티션 새로 생성)
Partition type:
p primary (0 primary, 0 extended, 4 free)
e extended
Select (default p): p (Primary 형식 선택)
Partition number (1-4, default 1): 1 (첫번째 파티션 / 해당부분은 사용상황마다 상이)
First sector (2048-20971519, default 2048): <Enter>( 첫번째 섹터지정)
Using default value 2048
Last sector, +sectors or +size{K,M,G} (2048-20971519, default 20971519): +8G (8G 지정)
Partition 1 of type Linux and of size 8 GiB is set
Command (m for help): p (상태확인)
Disk /dev/vdb: 10.7 GB, 10737418240 bytes, 20971520 sectors
Units = sectors of 1 * 512 = 512 bytes
Sector size (logical/physical): 512 bytes / 512 bytes
I/O size (minimum/optimal): 512 bytes / 512 bytes
Disk label type: dos
Disk identifier: 0x4b808001
Device Boot Start End Blocks Id System
/dev/vdb1 2048 16779263 8388608 83 Linux
Command (m for help): t (파티션 타입설정)
Selected partition 1 (하나밖에 없어서 자동으로 1번 파티션 선택됨)
Hex code (type L to list all codes): L (지정할 수있는 타입 코드출력)
0 Empty 24 NEC DOS 81 Minix / old Lin bf Solaris
1 FAT12 27 Hidden NTFS Win 82 Linux swap / So c1 DRDOS/sec (FAT-
2 XENIX root 39 Plan 9 83 Linux c4 DRDOS/sec (FAT-
3 XENIX usr 3c PartitionMagic 84 OS/2 hidden C: c6 DRDOS/sec (FAT-
4 FAT16 <32M 40 Venix 80286 85 Linux extended c7 Syrinx
5 Extended 41 PPC PReP Boot 86 NTFS volume set da Non-FS data
...
Hex code (type L to list all codes): 82 (Linux SWAP 형식 지정)
Changed type of partition 'Linux' to 'Linux swap / Solaris'
Command (m for help): p (상태확인)
Disk /dev/vdb: 10.7 GB, 10737418240 bytes, 20971520 sectors
Units = sectors of 1 * 512 = 512 bytes
Sector size (logical/physical): 512 bytes / 512 bytes
I/O size (minimum/optimal): 512 bytes / 512 bytes
Disk label type: dos
Disk identifier: 0x4b808001
Device Boot Start End Blocks Id System
/dev/vdb1 2048 16779263 8388608 82 Linux swap / Solaris
Command (m for help): w (현재 상태저장)
The partition table has been altered!
Calling ioctl() to re-read partition table.
Syncing disks.
위의 예시처럼 Standard Partition 생성 후 Type까지 변경이 완료 되었으면 해당 공간의 파일시스템 타입을 Swap형식으로 새로 생성해주고 활성화를 진행하면 구성 완료됩니다.
파티션 구성사항을 OS에 재인식 하게끔 Sync 해주는 명령을 실행합니다.
# partprobe
생성한 파티션에 Swap 파일시스템으로 포멧합니다.
# mkswap /dev/vdb1
Setting up swapspace version 1, size = 8388604 KiB
no label, UUID=8ee9105f-6382-49f3-9433-5f812e54e636
/etc/fstab에 등록하여 재부팅시에도 사용될 수있게끔 설정합니다.
# vi /etc/fstab
===================================
...
/dev/vdb1 swap swap defaults 0 0
...
===================================
생성한 Swap 영역을 활성화합니다.
# swapon -v /dev/vdb1
or
# swapon -a
활성화 된 Swap 영역을 확인합니다.
# cat /proc/swaps
# swapon -s
# free -h
Swap 영역 확장
Partition 형태의 Swap 확장방법 (Standard / LVM)
1. LVM Volume형식
# swapoff -v /dev/VolGroup00/LogVol01
# lvresize /dev/VolGroup00/LogVol01 -L +4G
# mkswap /dev/VolGroup00/LogVol01
# swapon -v /dev/VolGroup00/LogVol01
# cat /proc/swaps
# free -h
2. Standard Partiton 형식
Standard partition 형태일시엔 해당 Swap 비활성화 후 해당 파티션을 삭제하고 원하는 사이즈로 재생성해주시면 됩니다.
다음 포스트에선 File형태의 Swap 생성 및 확장 방법에 대해 포스팅 하겠습니다.
'OS > RHEL | Cent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Swap 영역에 대해 (Swap 메모리) (0) | 2022.07.04 |
---|---|
RHEL (Red Hat Enterprise Linux) EOS (End Of Service) 날짜 (0) | 2022.06.17 |
CentOS EOL(End Of Life) 날짜 및 Rocky Linux (0) | 2022.06.17 |
Linux Password 강제 변경 방법 및 복잡성 정책 (0) | 2022.06.16 |
ANSI코드를 이용한 Bash Prompt 색상 변경 방법 (0) | 2022.06.15 |
댓글